본문 바로가기

업무분야/병·해충 피해사례

미국흰불나방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미국흰불나방 (영문명 : Fall webworm)] 해마다 자주 발생하여 - 생활권 수목과 정원등의 수목에 큰 피해를 입히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수 있는 해충입니다. 미국흰불나방은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며 -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다양한 수목들을(버즘나무, 버드나무, 단풍나무, 뽕나무 포플러 등) 기주식물로 삼아,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번식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흰불나방 성충(좌) / 산란중인 미국흰불나방(중) / 잎을 식해하는 군집 유충들(우)] ​ 해마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암컷은 한번에 600~700개 정도의 알을 낳으므로 - 적절한 방제가 이뤄지지 않을 경나무의 수간과 가지에 잔뜩 발생한 유충 개체들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나방류 애벌레.. 더보기
매미나방(집시나방)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매미나방 (집시나방) (영문명 : Gypsy moth)] 최근 경기도와 충청도 등 전국에서 돌발적으로 대발생하여 - 전국을 시끄럽게 했던(?) 매미나방은 한국, 일본, 미국, 캐나다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며 -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다양한 수목들을(벚나무, 사과나무, 매실나무, 감나무, 살구나무, 포플러, 버드나무, 소나무 등) 기주식물로 삼아,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번식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미나방은 흔히 "집시나방"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매미나방 유충(좌) / 매미나방과 알집(중) / 성충 수컷과 암컷(우)] ​ 해마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해충이 아니라 - 특정 지역에서 급작스럽게 대발생하는 발생패턴을 가지고 있는 해충으로써, 한번 발생할 경우 식물에 군집하여 모이는 습성.. 더보기
소나무 피목가지마름병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소나무 피목가지마름병 (영문명 : Cenangium twig blight of pines)] 소나무 피목가지마름병은- 가뭄, 혹한 등과 같은 급격한 기온의 변화나 그 밖의 생리적인 피해 등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과 뿌리장애 등으로 수목의 수세가 약해졌을 때 수목의 상처나 가지등을 통해 내생균으로 존재하는 [피목가지마름병균]이 발병하는 형태가 주된 원인이며, 앞서 말한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수목의 수세가 약해졌을때 흔히 볼수있는 병해입니다. [소나무의 수피에 생긴 자낭반(좌) / 피해를 입고 갈변한 소나무(우)] ​ 병원균이 피해를 입히는 기주식물은 - 일반 소나무(곰솔)를 포함한 전나무, 잣나무, 가문비 나무 등 침엽수림 전반으로 넓은 편이며 수목의 상태가 건강할 때는 수피내에 잠복해 있다가, 수세가.. 더보기
소나무재선충병 (소나무시들음병)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소나무재선충병 (영문명 : Pine wilt disease)] 수목병해중 가장 악명이 높은(?) 병해인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처음 넘어와 전염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부산에 있던 금정산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으며 - 일단 감염되기만 하면 소나무가 100% 고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예방 대책이 없었던 소나무와 해송림에 막대한 피해가 있었습니다. [소나무재선충 피해목 (사진 좌, 중앙) / 소나무재선충 사진 (사진 우)] [사진제공 : 한국임업진흥원 블로그 "숲드림"] ​ 상기 설명에서도 보시다 시피 - 크기가 1mm 내외의 소나무재선충은 그 자체로는 이동능력이 없기 때문에 다른 소나무들로 옮겨갈 방도가 없지만, 솔수염하늘소에게 기생하여 - 수세가 약한 나무들을 찾아 옮겨.. 더보기
소나무 송진가지마름병(푸사리움 가지마름병)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소나무 송진가지마름병 / 푸사리움가지마름병 (영문명 : Pitch canker)] 소나무 송진가지마름병 /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은 가뭄, 혹한 등과 같은 급격한 기온의 변화나 그 밖의 생리적인 피해 등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으로 수목의 수세가 약해졌을 때 - [Fusarium circinatum] 이라는 병원균이 수목 체내로 침투하여 발병하는 형태가 주요 원인이며 - 1월 평균기온이 약 0℃ 이상인 아열대성 기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병해입니다. [소나무의 가지와 잎의 피해(좌) / 피해부에서 다량의 송진이 흘러나오는 현상(우)] ​ 병원균이 피해를 입히는 기주식물은 - 리기다소나무를 비롯하여 테다소나무, 일반 소나무(곰솔)류를 포함한 약 30여종을 기주로 하며 - 온난한 기후의 변화와 함께 미국, 남아프.. 더보기
소나무왕진딧물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소나무왕진딧물 (영문명 : Japanese red pine aphid)] 소나무왕진딧물은 우리 주변에 식재되어 있는 소나무에서 나타나는 진딧물 종류중 하나입니다. 주로 소나무에 피해를 주는 진딧물은 소나무왕진딧물, 곰솔왕진딧물, 대만왕진딧물, 호리왕진딧물 등 - 크게 4종류를 들 수 있으며 소나무왕진딧물은 이름에서 보시는것과 같이 일반 진딧물보다 2배~3배정도 큰 몸집으로 소나무에 흡즙피해를 입히는 유해충 입니다. [소나무왕진딧물 약충과 유시충(좌) / 피해를 입히고 있는 소나무왕진딧물(우)] 외형상 특징으로는 사진에서 보시는것과 같이 몸통 부분이 검은색 또는 흑갈색을 띄고 있습니다. 또한 상기 말씀드렸듯 약 4mm 정도의 큰 크기로 - 눈에 잘 띄여 개체를 쉽게 동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진.. 더보기
솔수염하늘소(소나무재선충 매개충)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솔수염하늘소 (영문명 : Japanese pine sawyer)] "소나무재선충 매개곤충"으로 잘 알려져 있는 솔수염하늘소는 천공성 해충의 한 종류입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일반적으로 건강한 소나무에는 산란을 하지 않으며(소나무의 송진등으로 인하여 유충들이 생활하기가 어려움) 수세가 약한 쇠약목이나 고사된 가지를 골라 산란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솔수염하늘소 유충 (좌) / 솔수염하늘소 성충 (중간)] 산란후 부화한 유충은 수목의 수피밑에서 형성층과 목질부를 가해하며, 성충이 될 경우 - 약 5mm 정도 크기의 탈출공을 만들어 나무 밖으로 나와서 수세가 약한 다른 기주목을 찾아 이동합니다. [솔수염하늘소 탈출공 (우)] ♣병징 및 피해상태 평균적으로 1년에 1회정도 발생하지만, 기온이 낮은 지방에서는.. 더보기
솔잎혹파리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솔잎혹파리 (영문명 : Pine gall midge)] 소나무 응애, 솔껍질깍지벌레 등과 함께 해마다 넓은 지역의 소나무에 큰 피해를 입히는 유해충인 솔잎혹파리는 주로 소나무와 해송(곰솔)을 기주식물로 삼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기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유해충 입니다. [솔잎혹파리 성충(좌) / 솔잎혹파리 유충(우)] ♣병징 및 피해상태 보통 1년에 1회 발생합니다.주로 땅위에 쌓여있는 잡풀과 낙엽, 또는 땅속에서 유충 형태로 월동을 하며 - 기온이 상승하는 5월경~7월경 성충으로 우화합니다. (통상적으로 6월경에 우화하는 개체수가 가장 많으며, 특히 비가온 다음날 우화율이 높습니다.) 우화한 성충은 날아다니며 소나무 가지와 솔잎 사이등에 교미를 하여 산란을 하고, 산란된 알은 유충으로 부화하여 솔잎 .. 더보기
조팝나무진딧물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조팝나무진딧물 (영문명 : Spirea aphid)] 조팝나무진딧물은 진딧물 중에서도 기주식물의 범위가 매우 넓은것이 특징으로, 우리 일상생활 주변에서 흔히 "진딧물"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진딧물의 한 종류라고 할수 있습니다. 외형상 특징으로는 사진에서 보시는것과 같이 몸통 부분이 밝은 녹색(또는 연노랑색)을 띄며, 진딧물의 특성상 기주식물의 엽면 뒷부분에 무리를 지어 가해하므로 - 피해 발생시 엽면 뒷부분에 붙어있는 진딧물들의 색상으로 쉽게 종류를 판별 하실수 있습니다. 정원수를 기준으로 대표적인 주요 기주식물로는... - 감나무 / 감귤나무류 / 대추나무 / 모과나무 / 배나무 / 복숭아나무 / 사과나무 / 포도나무 / 꽃사과나무 - 국화 / 목화 / 백합 / 해바라기 / 장미 / 매화류 .. 더보기
진달래방패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진달래방패벌레 (영문명 : Azalea lace bug)] 진달래방패벌레는 진달래, 밤나무, 사과나무, 영산홍(연산홍)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수목들을 기주 식물로 삼아 피해를 입히는 유해충 입니다. 주로 아파트 단지, 공공 시설물을 대상으로 조경수 피해 진단을 나가보면 - 시설물 주변 미관을 위해서 화단에 식재되어 있는 영산홍(연산홍) 및 진달래에 자주 발생하여 만나볼 수 있는 친구들입니다 ^^ [진달래방패벌레 성충 (좌) / 진달래방패벌레 피해를 입은 영산홍 (우)] ♣병징 및 피해상태 평균적으로 1년에 4회~5회 정도 발생합니다. (건조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당해의 기후 조건이 맞다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 자란 성충은 화단아래 낙엽에서 주로 월동을 하며,기온이 상승하는.. 더보기
솔껍질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솔껍질깍지벌레 (영문명 : Black pine bast scale)] 소나무 응애, 소나무가루깍지벌레와 함께 소나무에서 흔히 발생하는 유해충의 한 종류인 솔껍질깍지벌레는 - 주로 소나무, 해송(곰솔), 적송 등을 기주식물로 삼아 피해를 입히는 유해충 입니다. [솔껍질깍지벌레 암컷 성충(좌) / 솔껍질깍지벌레의 피해가 발생한 소나무 (우)] ♣병징 및 피해상태 보통 1년에 1회 발생합니다. 주로 다 자란 약충의 형태로 월동을 하며, 기온이 상승하는 4월~5월경 월동 장소에서 깨어난 약충이 곧바로 성충이 되어 - 소나무 가지에서부터 피해를 입히기 시작합니다. 주로 암컷 약충이 소나무 가지에 침을 꽂아 수액을 흡즙하여 가해하며, 이 과정에서 영양분의 손실로 인한 갈변증상과 세포막의 파괴로 소나무 피해 증상이.. 더보기
장미 검은무늬병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장미 검은무늬병 (영문명 : Black spot of Rose)] 장미 검은무늬병은 - 장미 흰가루병과 더불어서 장미가 식재된 곳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병해입니다. 장미 검은무늬병의 발생요인으로는 당해년도에 비가 자주오거나, 식재된 주변환경으로 인해 습기가 계속해서 높을 때발생합니다. ♣병징 및 피해상태 당년도 기후와 강수량에 따라서 어느정도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봄에 새잎이 올라올때부터 시작하여 - 가을낙엽기 까지 전 기간에 걸쳐서 발생합니다. 흰가루병과 달리 꽃망울과 꽃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병해는 아니지만, 잎에 커다란 검은색 병반이 생기며 - 생육 기간중에도 잎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등 전체적인 외관에 큰 악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잎의 조기 탈락으로 인하여 수세가 약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