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깍지벌레

소나무가루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영문명 : Crisiococcus pini)] 소나무 응애와 함께 흔히 발생하는 유해충의 한 종류인 소나무가루깍지벌레는 - 주로 소나무, 곰솔, 잣나무 등을 기주식물로 삼아 피해를 입히는 유해충 입니다. [소나무가루깍지벌레의 성충(좌) / 깍지벌레가 발생한 소나무 가지 표면(우)] ♣병징 및 피해상태 1년에 평균 1회~2회 정도 발생합니다만, 기후에 따라서 3회까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지난해 겨울부터 나무 줄기에 붙어서 약충의 형태로 월동을 하며, 기온이 상승하는 4월~5월경 - 월동장소에서 깨어난 약충과 성충들이 다시 한번 가지와 솔잎 사이로 이동합니다. 이후 새로이 돋아난 가지와 부드러운 솔잎순들을 주로 흡즙하여 가해합니다. [소나무가루깍지벌레 피해 가지(좌) / 소.. 더보기
거북밀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거북밀깍지벌레 (영문명 : Ceroplastes japonicus)]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 흡사 거북이 등처럼 생겼다 하여 이름이 붙여진 거북밀깍지벌레는 - 기주식물의 범위가 매우 넓어서, 일상 생활권 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유해충 입니다. [거북밀깍지벌레 피해를 입은 꽃사과나무(좌) / 거북밀깍지벌레 약충(우)] 대표적인 기주식물로는 (감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살구나무, 모과나무, 석류나무 등의 과실수와) - (벚나무, 회양목, 사철나무, 장미, 목련, 배롱나무, 진달래, 동백나무 등)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조경수를 기주식물로 삼아 번식을 진행합니다. 넓은 기주식물의 범위로 인하여 - 아파트 단지, 도로가(또는 길가), 정원 등에서도 피해가 발생하여 다수의 방제 의뢰가 들어오는.. 더보기
주머니 깍지벌레 (감나무)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주머니 깍지벌레 - 감나무 (영문명 : Asiacornococcus kaki)] 주머니 깍지벌레는 주로 감나무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별도로 감나무에서 발생하는 "감나무 주머니 깍지벌레"라는 명칭이 있습니다. 통풍이 불량한 곳에서 많이 발생하며, 흡즙을 통한 감나무의 가해와 더불어 그을음병을 유발시키는 유해충 입니다. 피해 발생시 엽면에서 관찰할 경우, 흰색 또는 연노랑색의 주머니 속에 성충과 약충이 숨어 있습니다. 상기 사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주머니 속의 본체는 붉은색을 띄고 있으며 본체와 약충, 알 등이 주머니 속에서 월동 후 부화하여 번식을 진행합니다. ♣병징 및 피해상태 깍지벌레는 주로 조경수가 밀식 되어있거나, 통풍과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 발생합니다. 1년에 약 2회~3회 정도 발생하며, 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