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 흰가루병 (영문명 : Powdery mildew of Rose)]
장미 흰가루병은 - 장미 검은무늬병과 더불어서 장미가 식재된 곳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병해입니다. 장미 흰가루병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흰가루병의 특성상 - 발생요인으로는 일조량 부족으로 인하여 그늘지고 습도가 높거나, 밀식을 하여 통풍이 되지 않는 것을 주요 발생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병징 및 피해상태
당년도 기후와 기온에 따라 어느정도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6월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 7월 하순까지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그 이후 기온이 가장 높아지는 8월경에는 일시적으로 소강상태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 다소 기온이 내려가는9월부터 재발하여 늦가을까지 이어집니다.
상기 사진에서 보시는것과 같이 - 흰가루병 발생 시에는 장미의 새잎, 잎자루와 꽃망울 등 전체적으로 흰가루를 뿌려놓은 모습을 보이므로 발병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관찰 하실 수 있습니다. 흰가루병에 걸린 잎들은 모양이 뒤틀리면서 시들어 버리며, 새로운 가지와 꽃망울에 흰가루병이 전염되었을 경우 그해에는 꽃망울에서 정상적인 꽃을 피우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장미의 특성상, 흰가루병 발병으로 예쁜꽃을 피우지 못한다는 것은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흰가루병이 장미의 전반적인 생육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꽃의 개화에도 영향을 끼쳐 미관상 보기 좋지않은 꽃들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사진 : 흰가루병이 발병한 장미 꽃망울과 새잎(좌) / 흰가루병 후반기 병반(우)]
이후 가을이 되어 날씨가 선선해지면, 발병된 줄기와 엽면의 병반위에 흑갈색의 작은 점들이 관찰됩니다. 이곳과 흰가루병의 균사에서 병원균이 월동하여 겨울을 나고 - 초봄에 기온이 상승할때 포자를 만들어 바람을 타고 주변으로 옮겨가며 흰가루병을 전염시킵니다.
♣방제요령
[1] 흰가루병은 한번 발생한 곳에서 거의 매년 다시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발병 전 미리 흰가루병에 효과가 있는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는 것으로도 흰가루병의 방제와 예방이 어느정도 가능합니다.
다만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는 장미의 품종 중 흰가루병에 저항성이 있는 품종을 식재하시거나, 흰가루병 방제 작업에 앞서 되도록 이면 일조량이 좋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이식을 권장해 드리는 바입니다.
[2] 이미 흰가루병에 피해를 입어 떨어진 낙엽, 꽃망울, 전염된 가지들은 잘라내거나 따로 전지하여 처리하거나소각하는 등 - 전염원을 없애서 이후 추가 전염을 막는것이 바람직 합니다.
[3] 발병의 증상이 발견된 초기에 - 흰가루병 전문 살균제를 살포 방제하도록 합니다. 통상적인 방제 횟수는 살포하실 살균제의 종류 및 희석 배율에 맞추어, 흰가루병 피해 상태와 따라서 1주일~10일 간격으로 / 2회~3회 정도 연속하여 방제를 진행하도록 합니다.
[4] 시중에서 구할수 있는 방제 약제로는 트리아디메폰 수화제 (상표명 : 티디폰 / 바리톤), 페나리몰 유제 (상표명 : 훼나리),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상표명 : 지오판) 등이 있습니다.
각종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용 살균제들은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으니, 구매시에는 적용 조경수와 증상에 대해 구매처와 충분한 상담을 거친 후 약제를 구비하시길 권장합니다.
[티디폰 수화제 소개] - https://blog.naver.com/cs-tree/221283357845 (클릭하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수목방제 약품/수목소독 약품] 티디폰(바리톤) 수화제 - 흰가루병, 적성병(붉은별무늬병), 녹병 방제용 종합 살균제 (트리아디메폰 5% 수화제)
찾아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반갑습니다 ^^대구광역시 소재 [수목방제 & 조경수관리&약제납...
blog.naver.com
해당 [수목 병·해충 일람 / 피해사례] 포스팅에 나오는 각종 내용들은
참고자료 및 당사에서 수집한 평균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조경수의 생육상태, 자생 환경등의 변수에 따라 해당 포스팅에 기재된
내용과 다른 부분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이에 방제작업을 진행하실 때에는 전문가의 상담 및 지도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업무분야 > 병·해충 피해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껍질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10 |
---|---|
장미 검은무늬병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10 |
소나무가루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09 |
거북밀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09 |
그을음병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