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을음병 (영문명 : Sooty mold)]
그을음병은 주로 깍지벌레 또는 진딧물, 가루이 등의 피해를 입었거나 - 계속하여 입고 있는 수목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해입니다. 소나무류, 주목류, 버드나무, 사철나무, 동백나무를 포함한 상록수와 낙엽수 등 수목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다방면에서 발생합니다.
그을음병 자체로 수목이 고사하는 일은 드문 경우입니다. 하지만 엽면을 덮고있는 그을음이 광합성 작용을 방해하므로 수목의 생육에 영향을 끼쳐 전체적으로 시들해지며, 수목은 다른 병충해에 상대적으로 취약 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보시는것과 같이 엽면이 검게 변색되어 조경수들의 미관이 크게 손상됩니다.
♣병징 및 피해상태
통상적으로 6월경~7월경 발생하며, 사진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잎과 가지의 표면이 검게 그을음을 발라 놓은것 처럼 병징이 나타납니다. 이 검은 그을음은 그을음병균과 균사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을 문지르면 쉽게 떨어져 나갑니다.
위에서 먼저 설명해드렸지만, 그을음병은 대부분 깍지벌레 또는 진딧물, 가루이 등에 의해서 피해를 입었거나 계속하여 피해가 생기고 있는 수목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이유인 즉슨 대다수의 그을음병균이 깍지벌레, 진딧물 등이 배출하는 분비물에서 번식하고 퍼져나가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도 병해 진단을 나가보면 그을음병을 앓고있는 대다수의 수목들은 깍지벌레, 진딧물, 가루이 등의 피해를 받은 (또는 피해가 진행중인) 상태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각종 유해충의 이동으로 - 주변 수목들에게도 쉽게 전파가 될수 있으며, 병반을 그대로 방치시에는 겨울을 나고 다음해의 새로운 전염원이 되어 재발합니다.
♣방제요령
[1] 방제 약품을 구비하여 그을음병의 주요 원인이 되는 유해충 - 깍지벌레와 진딧물, 가루이 등에 대한 주기적인 수목 방제와 더불어 각종 병균류가 발생하기 좋은 환경 (습하고 일조량이 적은, 통풍이 되지않는)을 개선해 주는것이 최선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2] 깍지벌레 및 진딧물, 가루이를 방제할 수 있는 방제 약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깍지벌레 : 아미트라즈 / 뷰프로페진 혼합유제(상표명 : 깍지킬 / 히어로 등)
[깍지킬 유제 소개] - https://blog.naver.com/cs-tree/221283364959 (클릭하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진딧물/가루이 :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상표명 : 래피드킬 등),설폭사로르 액상수화제(상표명 : 트랜스폼 등)
[래피드킬 수화제 소개] - https://blog.naver.com/cs-tree/221283366143 (클릭하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상기 설명해드린 약제는 당사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제로 예시를 해드렸지만 - 이외에도 방제용으로 시중에 나와있는 약제들이 많으므로, 방제 작업을 위하여 약제 구입시에는 구매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알맞는 약제로 구입하시길 권장합니다.
또한 수고가 큰 소나무, 버드나무, 동백나무 등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하기 어려운 수종에는
이미다클로프리드 성분의 수간주사제 형식의 약제를 투입하는것도 방제에 큰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수간주사제 시공은 살포방제작업 대비 - 안정성과 약효지속 시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해당 수간주사제를 이용한 방제 작업의 소개는 하단의 주소를 클릭하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솔껍질깍지벌레, 진딧물, 꽃매미 등 전문 살충제 / 스크류 압력식 수간주사제 - "젠토어디션"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시면 제품소개로 이동합니다)
https://blog.naver.com/cs-tree/221295633740
[3] 깍지벌레, 진딧물 등의 개체가 없음에도 그을음병이 발생하였을 때는 만코제브 수화제 (상표명 : 만코지) 또는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상표명 : 지오판 등)의 살균제를 살포하여 방제를 진행합니다.
해당 [수목 병·해충 일람 / 피해사례] 포스팅에 나오는 각종 내용들은
참고문헌 및 당사에서 수집한 평균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조경수의 생육상태, 자생 환경등의 변수에 따라 해당 포스팅에 기재된
내용과 실제 다른 부분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이에 방제작업을 진행하실 때에는 전문가의 상담 및 지도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업무분야 > 병·해충 피해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가루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09 |
---|---|
거북밀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09 |
주머니 깍지벌레 (감나무)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08 |
꽃매미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08 |
소나무 응애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0) |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