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깍지벌레 썸네일형 리스트형 솔껍질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솔껍질깍지벌레 (영문명 : Black pine bast scale)] 소나무 응애, 소나무가루깍지벌레와 함께 소나무에서 흔히 발생하는 유해충의 한 종류인 솔껍질깍지벌레는 - 주로 소나무, 해송(곰솔), 적송 등을 기주식물로 삼아 피해를 입히는 유해충 입니다. [솔껍질깍지벌레 암컷 성충(좌) / 솔껍질깍지벌레의 피해가 발생한 소나무 (우)] ♣병징 및 피해상태 보통 1년에 1회 발생합니다. 주로 다 자란 약충의 형태로 월동을 하며, 기온이 상승하는 4월~5월경 월동 장소에서 깨어난 약충이 곧바로 성충이 되어 - 소나무 가지에서부터 피해를 입히기 시작합니다. 주로 암컷 약충이 소나무 가지에 침을 꽂아 수액을 흡즙하여 가해하며, 이 과정에서 영양분의 손실로 인한 갈변증상과 세포막의 파괴로 소나무 피해 증상이.. 더보기 소나무가루깍지벌레 - [수목 병·해충 방제정보 및 피해사례]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영문명 : Crisiococcus pini)] 소나무 응애와 함께 흔히 발생하는 유해충의 한 종류인 소나무가루깍지벌레는 - 주로 소나무, 곰솔, 잣나무 등을 기주식물로 삼아 피해를 입히는 유해충 입니다. [소나무가루깍지벌레의 성충(좌) / 깍지벌레가 발생한 소나무 가지 표면(우)] ♣병징 및 피해상태 1년에 평균 1회~2회 정도 발생합니다만, 기후에 따라서 3회까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지난해 겨울부터 나무 줄기에 붙어서 약충의 형태로 월동을 하며, 기온이 상승하는 4월~5월경 - 월동장소에서 깨어난 약충과 성충들이 다시 한번 가지와 솔잎 사이로 이동합니다. 이후 새로이 돋아난 가지와 부드러운 솔잎순들을 주로 흡즙하여 가해합니다. [소나무가루깍지벌레 피해 가지(좌) / 소.. 더보기 이전 1 다음